2025년 5월 16일 인미공 종료 전시 «그런 공간»이 어느덧 마지막으로 가는 반환점(?)을 돌았습니다.슬기와 민의 은 흘러가버린 전시의 시간만큼 구김이 생겼네요. 이제 전시를 볼 수 있는 날도, 인미공에 들어가볼 수 있는 날도 딱 14일 남았습니다. 물론 언젠가 기회가 되면 부동산의 쓰임에 따라, 더이상 인미공은 아닌 원서동 90번지 건물에 들어가볼 수는 있겠습니다. 그럼 이만… (미술(예술)/인미공 종료 전시 관련 메모 2025.07.07
2025년 5월 15일 “애자일 개발 프로세스란 어느 특정 개발 방법론을 가리키는 말은 아니고 애자일(Agile=기민한, 좋은것을 빠르고 낭비없게 만드는 것) 개발을 가능하게 해 주는 다양한 방법론 전체를 일컫는 말”이다. 이 개념은 여러 분야의 기업 경영에도 폭넓게 도입된다고 한다.혁신적이고 실용적인 이 방법론이 적용될 때 오히려 문제적 현상이 나타나는 분야가 있을 텐데, 특히 ‘무엇이’ ‘좋은 것’인지(또 좋은 것이란 과연 무엇인지)에 관한 물음을 ‘느리고’ ‘비효율적으로’ 만들어내는 분야에 적용될 때 생기는 문제는 유독 기민하게 퍼져나가는 것 같다. (미술(예술)/인미공 종료 전시 관련 메모 2025.07.07
2025년 5월 15일 정책연구나 방향 설정 토론회 자료집 같은 과거의 문서들을 시기별로 쭉 살펴보면, 그 흐름이 어떤 유사한 문제의식의 망각과 반복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. 굳이 멀리 거슬러 갈 필요도 없는 것 같다. 이 문서는 용역 연구를 통해 2020년 발행된 정책연구서의 출력본이고, 그 위의 형광펜과 빨간펜 흔적은 2023년 12월 13일의 어느 회의 준비를 위해 긋고 쓴 것들이다. 조금은 친절한 마음으로 긋기 시작한 형광펜이 분노의 빨간펜으로 바뀌었던 기억이 난다. 이제 또 시간이 흘러 2025년이다. 무엇이 어떻게 망각되고 반복되고 있나. (미술(예술)/인미공 종료 전시 관련 메모 2025.07.07
2025년 5월 14일 관객에게 개방하기 위해 인미공 3층의 문서 수납장은 더 철저히 잠겨 있다. 에어비앤비 같다. 숙박업으로서 에어비앤비 말고 진짜 사는 집을 내어주던 에어비앤비 말이다.작가는 인미공 3층 사무실을 한 달 동안 빌린 투숙객이라 할 수도 있겠다. 그런데 빌린 집을 프린트숍으로 꾸며 열고는 불특정 다수에게 아주 제멋대로 쓰도록 방치한 채 사라져버린 무서운 투숙객이다… (미술(예술)/인미공 종료 전시 관련 메모 2025.07.07
2025년 5월 11일 전시장에 있는 리플릿을 손에 들고 전시를 보면 맨 손으로 보는 것보다 전시에 관한 세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요. 벽면에 붙은 캡션은 최소한의 글 정보만 제공해요. 또 전시를 다 보고 난 후 손에 든 리플릿을 그대로 집에 가져가면 “언젠가 갑자기” 필요한 도움을 받는 날이 올 수도 있겠습니다… (미술(예술)/인미공 종료 전시 관련 메모 2025.07.07
2025년 5월 9일 노재운 작가의 〈총알을 물어라!(BITE THE BULLET!)〉는 전시장에는 없지만, 인미공 인스타그램 스토리를 통해 “언젠가 갑자기” 조금 이상하고 불연속적이면서 불완전한 모습으로 만나볼 수 있습니다.스토리에 나타나는 12개의 씬을 마주하면, 얼마간은 내 눈과 귀 혹은 영상 파일이 잘못됐다고 생각할 수도 있고, 그저 스마트폰을 이리저리 돌려가며 되는대로 볼 수도 있고, 무심한 물음표를 떠올리며 다른 계정의 스토리로 넘겨버릴 수도 있고, 무엇인지 정체도 모른 채 끝까지 보고선 기억의 저편으로 잊혀져 가도록 방치할 수도 있겠습니다. 그러다가 “언젠가 갑자기” 다른 모습으로 다시 마주하는 날이 올 수도 있으려나요. (미술(예술)/인미공 종료 전시 관련 메모 2025.07.07
2025년 5월 9일 “그럴 수 있었던 세계는 대체 어떤 세계였는가.”세계가 세워지고 말끔하게 허물어지기를 너무 빠르게 반복해서인지 불과 10년 전, 20년 전으로만 거슬러 가보려 해도 이런 질문을 하기에 큰 무리가 없는 것 같다. (미술(예술)/인미공 종료 전시 관련 메모 2025.07.07
2025년 5월 6일 ‘한 개의 구멍’을 어떻게 여기는지에 따라 이 ‘공동 수도‘는 한시적인 기회로서 프로그램일 수도 있고, 모이는 공간일 수도 있고, 소중한 지원제도일 수도 있고, 나와 상관 없는 기관일 수도 있고, 아무 것 아닌 과거일 수도 있다. (미술(예술)/인미공 종료 전시 관련 메모 2025.07.07
2025년 5월 3일 2022년 6월 침수로 인해 의자를 비롯한 사물들을 비추던 인미공 지하에서, 지금은 거울에 비치는 무엇에 관한 영상을 의자에 앉아서 볼 수 있다. 물론 이 영상은 거울을 거쳐 상을 볼 수 있는 사진 기계를 통해서 만들었다.💦 (미술(예술)/인미공 종료 전시 관련 메모 2025.07.07